'공자'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자7

공자의 말씀, 논어(論語) - 군자(君子) 군자의 길, 인류 구원의 길을 가노라 군자란 흔히 일정 수준의 학식과 덕망을 갖춘 이로서 우리가 말하는 선비나 서양에서 말하는 신사(紳士)로 바꾸어서 말해도 무방할 듯하다. 그렇다면 공자는 이와 같은 군자가 되기를 적극적으로 권하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군자 된 이의 최고 목표는 당연히 성인(聖人)이다. 성(聖) 자는 본디 귀[耳], 입[口] 그리고 왕[王]의 세 가지 요소가 합쳐진 글자이다. 즉 귀로는 세상의 학문 지식과 지혜를 두루 들어 깨우치고 입으로는 세상을 위해서 펼 줄 아는 왕(王)과 같은 존재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성인이란 인류를 구원하는 이라는 뜻으로, 이들 군자나 성인의 지상 목표는 다시 말해서 내성외왕(內聖外王)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스스로는 열심히 수련하여 성인의 경지.. 2022. 1. 7.
공자의 말씀, 논어(論語) - 부자(富者) 부자가 되는 것에 관하여 흔히 유가(儒家) 전통사회에서 신분의 등급을 나누어서 말할 때, 사농공상(士農工商)이라고 하여 상업에 종사하는 이를 가장 낮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공자는 공부하는 것을 가장 중시하였으니 학문에 정진하는 것을 주로 하는 사(士)를 가장 앞에 두었으며, 상대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상인(商人)이 떳떳치 못한 계급이 되어 버렸던 것이다. 그러나 사농공상이라는 말이 생긴 것은 공자의 시대가 아니다. 유학이 관념론에 빠지기 시작한 송(宋)대 이후이다. 그런데 과연 공자는 부자가 되지 말라고 했을까? 아니다. 다음의 글들을 보면서 공자는 부자가 되는 것을 어찌 여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 부자보다는 정의를 위하여 見義不爲, 無勇也. [論語·爲政] / 見利思義, 見危.. 2022. 1. 6.
공자의 말씀, 논어(論語) - 정치(政治) 3,4 (3) 정치란 바르게 하는 것 季康子問政於孔子. 孔子對曰: “政者, 正也. 子帥以正, 孰敢不正?” [論語·顔淵] 계강자문정어공자. 공자대왈: “정자, 정야. 자솔이정, 숙감부정?” [논어·안연] - 번역: 계강자가 공자에게 정치에 대하여 물었다. 공자는 대답하기를, “정치라는 것은 바로 잡는 것이다. 그대가 바름으로써 이끈다면 누가 함부로 바르지 않겠는가?”라고 하셨다. - 어휘풀이 • 顔淵(안연) :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이름은 회(回), 자(字)는 자연(子淵). 공자 제자 가운데 안빈낙도(安貧樂道)로 이름이 가장 높았다. - 해설: 정치란 바르게 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니, 참 어찌 보면 너무나도 간단하고도 당연한 말인 것 같은데, 이 역시 그리 간단치 않은 듯하다. 바르다고 하는 것이 단순히 옳.. 2022. 1. 5.
공자의 말씀, 논어(論語) - 정치(政治) 1,2 정치는 바로 잡는 것 성인(聖人)이 세상에 오신 이유와 목적은 기본적으로는 인류의 구원에 있다고 하겠다. 석가도 예수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사회에서 고통받는 이의 복음을 위한 것이다. 이에 공자 역시 당시 전쟁의 시대였던 춘추시대에 위정자들을 향해 외친 한마디는 바로 '사랑[仁]’과 ‘정의[義]의 실천이었다. 인과 의의 실현이야말로 공자가 밝힌 세상을 다스리는 정치 행위의 근본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그러한 공자의 정치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정치는 집안을 편히 하는 것에서부터 或謂孔子曰: “子室不爲政?” 子曰: “書云, ‘孝乎惟孝, 友于兄弟, 施 於有政.”是亦爲政, 奚其爲爲政?”(『論語·爲政) 혹위공자왈: “자해불위정?” 자왈: “서운, ‘효호유효, 우우형제, .. 2022. 1.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