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공 공부51 논문 작성의 실제 - 3. 결론 결론은 본론에서 다룬 내용과 그에 따른 결론들을 요약적으로 진술하고 단정을 내리는 부분이다. 먼저 자신이 전개한 내용들을 재정리하여 간단하게 요약하고, 자신의 최종적인 주장을 부각시켜 밝힌다. 요약의 목적은 기초적 지식을 가진 사람정도라면 논문 전체를 읽지 않고서도 논문의 전체 윤곽을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결론에서의 요약은 간결하면서도 포관적으로 진술되어 논문의 전체 내용을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결론을 더욱 확고하게 하려는 욕심으로 본론에서 거론하지 않았던 연구자들의 이론이나 주장을 새롭게 인용해서는 안 된다. 요약 위주의 결론 부분에서는 문헌을 인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자신의 연구 목적과 주제를 다시 한 번.. 2022. 2. 9. 논문 작성의 실제 - 2. 본론 본론은 논문의 핵심에 해당하는 것으로, 주제와 관련된 사항들을 명백하게 설명하고, 자신이 채택한 자료나 연구 방법이 분명히 드러나도록 작성해야 한다. 본론에서 주제를 일관성 있고 충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자료를 체계적으로 배열해야 하며, 논문의 주제와 거리가 먼 자료는 제외시켜야 한다. 시간과 노력을 들여 모은 자료라고 그것에 연연하면 군더더기가 많은 글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본론에서의 논지는 일관성 있고 분명하게 전개하고, 중간과정이 없는 논리적인 비약을 하지 않도록 전개해야 한다. 그리고 주관적 생각이나 아집, 독선을 버리고, 객관적 자료와 사실에 의거하여 논지를 전개해 나가야 한다. 또, 문제 하나하나가 논의를 거쳐 어떤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에는 그 때마다 소결론을 내둔다. 즉, 논문.. 2022. 2. 8. 논문 작성의 실제 - 1. 자세와 서론 1. 논문 작성자의 자세 일상 속에서도 사람들은 어떤 결정을 내리기 위해 방향을 모색하고, 그것에 관계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일을 한다. 주부가 요리를 할 때도, 직장인이 재테크를 할 때도, 진로를 결정할 때도 모두 논문 쓸 때와 마찬가지로 '주제(방향) 설정->자료수집->심사숙고->결론(결정)'의 과정을 거치기 마련이다. 특별한 인식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일상적인 활동들이 바로 논문 작성의 과정과 맞닿아 있다. 따라서 우리는 논문을 특별한 형태의 글쓰기로 분류하고, 그것을 어렵고 머리 아픈 과정으로 인식하는 마음의 부담부터 버려야 한다. 어떤 주제에 관하여 논문을 쓴다는 것은, 그 이전에는 누구도 그 주제에 대해 그토록 명료하고 완벽하게 언급한 적이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논문을 쓰는 사람은 .. 2022. 2. 7. 논문 개요 작성하기 1. 개요 작성의 필요성 이제 자료 정리가 끝나면 개요 작성 단계로 들어간다. 개요(Outline)란 구상을 해 나가는 단계에서 하는 구상 메모이다. 논문을 쓸 때 어떻게 논문을 전개시켜 나갈 것인가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구상의 내용을 간략하게 적어 놓는 것이다. 원고지 10~20매 정도의 글이라면 개요 작성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 쓸 내용을 머릿속에서 정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논문과 같이 긴 글, 더욱이 논리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는 글이라면 개요를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 개요는, ① 글의 전체적인 흐름을 잡아준다. 논문은 자신이 세운 가설을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글이다. 따라서 추론은 논거보다 훨씬 중요하다. 논문에서의 논거는 이미 자료를 찾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마련되었다. 문제는 이러한 논거를 .. 2022. 2. 6.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 728x90 반응형